반응형 부동산 정보639 전・월세 집수리비, 원상복구 범위와 사전예방법 임대인과 임차인의 계약기간이 종료되면 부동산을 다시 예전 상태로 복구해야 할 의무 때문에 끊임없는 분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파트나 빌라 등 전・월세로 계약당시에는 이상이 없다가 살면서 보일러, 수도, 타일, 배관 등이 파손되어 임대인이나 임차인이 난감한 상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또한 임대차 계약이 완료되어 임차인의 부주의로 인해 중요시설물 등이 파손되었을 겨우 임대인이 원상복구를 요청할 수 있지만 그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정확한 법적 기준이 없어 가끔 다툼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그럼 예시를 통해 임차인과 임대인의 수리범위와 원상복구 의무와 사전예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전・월세 집수리비와 원상복구 범위 임대차 계약 후 살면서 집수리를 해야 하는 상황이 생기면 전세는 임차인이 .. 부동산 정보 2023. 10. 25. 세운상가일대 재개발, 세운재정비촉진계획 변경안 정리 세운상가 일대가 재개발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서울시가 세운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안을 발표하면서 다음 달 8일까지 주민공람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변경안에는 43만㎡규모의 대규모 녹지공간과 주거・업무・상업・문화시설 등의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서울시는 과거 147개구역을 23개로 통합하고 민간 재개발을 활성화해 녹태생태도심, 활력창조도심, 매력 넘치는 문화도심으로 중점 개발할 예정입니다. 세운상가 일대 재개발 진행상황 서울시는 노후된 세운상가 일대를 재개발을 통해 일과 주거, 문화가 어우러진 글로벌 중심지로 새롭게 태어납니다. 종로구 종묘에서 퇴계로까지 43만㎡인 약 13만평에 부지에 주거단지는 약 1 만세대규모에 업무시설・상업시설, 20개 넓이의 공원이 포함된 녹지생태 도심으로 개발할 계획.. 부동산 정보 2023. 10. 25. 대치미도(한보미도맨션), 대지지분, 비례율, 사업내용은? 대치동 일대 재건축 구역들이 탄력을 받고 있습니다. 최근 조합설립을 마친 은마아파트를 비롯해 미도아파트, 선경아파트, 개포우성 1・2차, 대치쌍용 1차・2차, 대치우성 1차 등의 재건축 사업지들이 움직이고 있습니다. 지하철 대치역과 가까운 대치미도(한보미도맨션)는 정비구역 지정을 앞두고 있으며, 재건축으로 총 3776세대의 대단지 계획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은마아파트 조합설립인가로 재건축 본격화 은마아파트 조합설립인가로 재건축 본격화 은마아파트는 올해 2월 정비구역 지정을 받았지만 상가소유주와 갈등으로 조합설립에 난항을 겪어왔습니다. 최근 상가소유자들과 협의가 이뤄져 전체 동의율과 각 아파트, 상가 동의율을 확보 building-buy.com 대치미도(한보미도맨션) 사업추진내용 사업위치 : 서울시 강남구.. 부동산 정보 2023. 10. 25. 용산 청파2구역 재개발 지상 25층, 1953세대 계획 서울시 용산구의 첫 신속통합기획으로 진행하는 청파 2 구역 재개발사업이 향후 지상 25층 규모 1953세대로 개발됩니다. 오는 11월까지 주민공람을 진행하면 후속절차인 정비구역 지정절차에 들어가 본겨적인 재개발이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청파 2 구역이 향후 재개발이 완성되면 지상 최고 25층 규모 아파트 1953세대가 탄생하게 됩니다. 용산 청파 2 구역 재개발 사업내용 사업위치 : 서울시 용산구 청파동 1가 89-18번지 일대 사업면적 : 82,360㎡ 사업규모 : 지상 최고 25층 세대수 : 1953세대(임대주택 494세대) 용산구 청파동 1가 89-18번지 일대에 위치한 청파 2 구역은 노후 주택이 70%에 달해 2007년부터 정비사업을 추진했지만 부동산 시장과 정책 변화등으로 인해 사업이 본격화.. 부동산 정보 2023. 10. 24. 반월구역 1702세대 재개발, 사업추진내용 정리 창원 재개발 마산합포구에 위치한 반월구역이 시공사 선정에 나서면서 정비사업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올해 7월 반월구역은 건축심의를 조건부 통과되면서 시공사 선정과 사업시행인가를 위한 준비작업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지난 2020년 12월 현대엔지니어링・중흥토건・반도건설 컨소시엄 그레이트 사업단이 시공사로 선정되었지만 재입찰을 추진해 최종 시공사로 HDC현대산업개발, 중흥토건, 한신공영 컨소시엄이 선정되었습니다. 그럼 전체적인 추진내용과 전반적인 상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월구역 사업추진내용 사업위치 : 창원시 마산합포구 반월동 61-1번지 일대사업면적 : 96,273㎡건폐율 : 19.02%용적률 : 235.63%사업규모 : 지하 4층~지상 29층, 16개동세대수 : 1702세대 마산합포구 반월.. 부동산 정보 2023. 10. 24. 안양 종합운동장 북측, 1105세대 규모 재개발 사업내용 안양 종합운동장 북측구역의 재개발이 순로롭게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구역은 종합운동장 바로 위쪽에 있는 노후 빌라들이 밀집한 곳으로 좌측으로는 2024년 6월 입주예정인 공공주택이 지어지고 있습니다. 조합설립인가 신청 당시 80%가 넘는 조합원들이 찬성표를 던지며 80%가 넘는 동의율을 보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시공사 선정을 위한 현장설명회를 개회하는 등 빠르게 사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그럼 안양 종합운동장 북측 위치와 관련 사업내용을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안양 종합운동장 북측 재개발 사업위치 :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1015-22번지 일대 사업면적 : 64,375㎡ 건폐율 : 30% 이하 용적률 : 262.8% 사업규모 : 지하 3층~지상 26층, 11개동 예상 세대수 : 약 1105세대.. 부동산 정보 2023. 10. 24. 광주 동서작구역 1341세대 재개발, 사업내용 광주 우산동에 노후주택 밀집지역인 동서작구역이 총 1341세대를 건립하는 재개발 사업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이 구역은 정비사업 시행자로 LH(한국토지주택공사)를 시행자로 지정해 공공시행 재개발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곳입니다. 최근에는 아파트 건설을 맡을 시공사를 DL건설을 선정하면서 큰 걸림돌없이 재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동서작구역은 향후 건축심의, 사업시행인가, 조합원 분양신청, 관리처분인가, 이주 및 철거 등을 거쳐 일반분양을 진행하고 2028년 준공을 목표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광주 동서작구역 재개발 사업내용 사업위치 : 광주시 광산구 우산동 1256번지 일대 사업면적 : 85,809㎡ 건폐율 : 12.62% 용적률 : 227.63% 사업규모 : 지하 2층~지상 최고 28층, 1.. 부동산 정보 2023. 10. 23. 부산 괴정 3구역 사업내용 및 분양가, 입지는? 부산 괴정 3 구역이 지난 2022년 3월 사업시행계획을 인가받고 이번 관리처분인가를 받음으로써 재건축 막바지 준비인 이주와 철거를 진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하구 괴정동에 위치한 괴정 3구역은 부산 지하철 1호선 괴정역이 인접해 있어 대중교통이 편리한 곳입니다. 바로 옆에는 사하구 최대 사업지인 괴정 5 구역 재개발 구역이 있어 향후 이 일대 주거환경이 크게 개선될 전망입니다. 부산 괴정 3구역 사업내용 사업위치 : 부산시 사하구 괴정동 530-13번지 일대 사업면적 : 31,310㎡ 건폐율 : 18.89% 용적률 : 255.49% 사업규모 : 지하 2층~지상 26층, 7개 동 세대수 : 757세대 토지등소유자 : 526세대 부산 사하구 괴정동 530-13번지 일대에 위치한 괴정 3 구역은 31,3.. 부동산 정보 2023. 10. 20. 방배 신동아 '오티에르 방배' 843세대 추진내용 및 시세 방배동 임광 1・2차, 신동아, 삼익 아파트가 재건축이 진행대는 가운데 입지적으로 가장 눈에 띄는 곳은 신동아 아파트입니다. 방배역과 가까운 방배 신동아는 493세대로 서리풀 공원과 가깝워 서리풀터널, 강남순환도로 등을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한 교통환경과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는 곳입니다. 입지적 강점을 갖춘 방배 신동아가 최근 관리처분인가를 받아 재건축을 통해 35층 높이 843세대로 다시 태어날 예정입니다. 그럼 세부내용을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방배 신동아 재건축 사업내용 관리처분인가를 받은 방배 신동아 재건축 사업에 대해 사업개요부터 한번 보고 넘어가겠습니다. 방배 신동아 재건축 사업개요 사업위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988-1번지 일대 용도지역/지구 : 제3종일반주거지역/지구단위계획구역.. 부동산 정보 2023. 10. 19. 전농동 재개발 구역, 전농 8・9・12・14구역 진행상황 및 시세 청량리와 전농동 일대 재개발이 속속 완료되는 가운데 이 일대가 새 아파트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전농동에는 현재 전농 8 구역, 9 구역, 12 구역, 14 구역이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고 이 구역들 까지 개발이 완료되면 청량리를 비롯해 전농동 일대의 주거환경이 크게 개선될 전망입니다. 동대문구 전농동에 재개발이 진행중인 전농 8・9・12・14 구역 상황이 어떻게 되는지 간략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전농동 재개발 구역은? 전농동 7구역이였던 래미안크레시티는 입주가 완료되었고 전농 8・9・12・14 구역이 현재 정비사업을 진행 중입니다. 이 구역들은 청량리역과 인접해 있어 향후 GTX가 개통되면 교통편의성은 더욱 좋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전농 8구역은 다른 구역보다 다소 멀지만 그래도 500m 거.. 부동산 정보 2023. 10. 18. 전농 8구역 세대수 증가로 1750세대 건립 동대문구 전농동에 재개발되고 있는 전농 8 구역은 2021년 12월 조합설립인가 후 최근 용적률과 세대수 등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으로 1750세대가 들어설 예정입니다. 이 구역은 전농답십리 뉴타운지역으로 전농 7 구역 같은 경우 2013년 입주가 끝났고 인근 청량리와 답십리 등 주변으로 많은 재개발 정비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당초 전농 8구역은 약 1500세대 정도로 정비안이 계획되었지만 지상 최고 32층 규모 1750세대로 변경되어 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농 8구역 사업개요 및 추진현황 전농 8구역의 전체적인 사업내용과 추진현황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이번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을 위주로 살펴볼게요. 전농 8구역 사업개요 및 변경내용 전농 8구역 사업개요 사업위치 서울시.. 부동산 정보 2023. 10. 18.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 전자의결 제도화 장단점 재건축이나 재개발이 진행되는 정비사업 단지들이 직접 총회에 참여하지 않더라도 비대면 방식으로 의결하는 개정안을 발의해 전자총회 개최가 국회의 문턱을 넘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 전자의결은 코로나 유행으로 집회나 총회가 어려운 특별한 상황에서 전자의결 방식이 일부 허용되었지만 집합금지가 해제되면서 혼선을 빚어 왔습니다. 만약 정비사업 조합이 전자총회를 비대면으로 개최할 수 있으면 장점과 단점은 존재하지만 정비사업은 한층 더 빨라질 전망입니다. 전자의결 제도화 전자총회는 코로나 당시 집합금지가 시행되면서 재건축, 재개발, 리모델링 조합해 대해 사업 지연을 막기 위해 2021년 11월부터 제한적으로 도입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재난상황에 조합원이 직접 참석이 어려운 경우 전자의결로 의결권 행사가 허용되.. 부동산 정보 2023. 10. 17.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5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