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25 부산 사직 3구역 재개발, 최고 39층 총 995세대 건립예정 부산 사직 3 구역 재개발 사업지가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안)에 대한 주민공람에 들어가 7월 28일까지 약 30일간 진행됩니다. 이 구역은 지하철 3호선 사직역에 붙어있는 초역세권 입지로 재개발을 통해 지상 최고 39층 높이로 약 995세대가 건립될 계획입니다. 공람이 끝나면 올해 하반기에 정비구역지정이 예상되며, 학군이나 교육환경이 좋아 학부모들에게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부산 사직 3구역 재개발로 995세대 건립 부산시 동래구 사직동 411-1번지 일대에 위치한 사직 3 구역이 정비계획 지정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 구역은 단독주택과 5층 이하 공동주택 등 저층중심 노후 건축물들이 밀집해 있는 지역으로 주거환경 개선이 시급했습니다. 사직 3구역은 지난 3월 2030 부산광역시 도시 .. 부동산 정보 2023. 6. 28. 성수전략정비구역 정비계획 변경으로 수변친화 감성도시로... 한강변에 위치한 성수전략정비구역이 수변친화 감성도시로 재탄생합니다. 서울시는 성수전략정비구역을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해 강변북로 상부를 덮고 한강변과 어우러진 수변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입니다. 여기에 입체데크를 통해 성수전략정비구역에서 한강 접근성을 높일 예정입니다. 성수전략정비구역은 그간 사업성 문제로 재개발이 계속 지연되어 왔지만 이번 서울시의 정비계획 변경안으로 규제가 대폭 완화되고 유연한 설계가 적용될 예정입니다. 성수전략정비구역 초고층 재개발 가능 서울 성동구 성수동 일대에 위치한 성수전략정비구역은 1 지구~4 지구로 나눠져 1 구역은 194, 398㎡, 2 구역은 131,980㎡, 3 구역은 114,193㎡, 4 구역은 89,828㎡ 면적에 보유하고 있습니다. 성수전략정비구역은 2.. 부동산 정보 2023. 6. 28. 신속통합기획에 참여한 압구정 2구역, 설계공모 당선작선정 재건축을 진행하고 있는 압구정 2 구역은 현재 서울시가 추진 중인 신속통합기획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 일대는 압구정 2 구역, 3 구역, 4 구역, 5 구역에 나눠 각각 신속통합기획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이 중 압구정 2 구역은 올해 3월 설계공모를 진행해 지난 24일 조합총최에서 디에이그룹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무소의 디지 안으로 최종 선정했습니다. 압구정 2구역 신속통합기획으로 재건축 추진 중 압구정 아파트 지구는 강남 최대 재건축 사업지로 손꼽히고 있는 곳입니다. 최근에는 서울시가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수변 특화 공간 조성계획까지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압구정 2 구역은 각종 인센티브가 적용되는 등 혁신설계가 가능해 올해 3월 단지고급화를 위한 설계공모를 진행했습니다. 압구정 재.. 부동산 정보 2023. 6. 28. 시흥 은행 1구역 재개발을 통해 537세대 건립예정 경기도 시흥시 은행 1 구역이 지난 24일 DL이앤씨를 시공사로 최종 선정했습니다. 이 구역은 2023년 2월 조합설립인가를 받아 지상최고 29층으로 총 537세대가 건립될 예정입니다. 인접해 있는 서해선 은행역과 인접해 있으며, 월판선은 공사 중에 있고 광명~시흥선 철도망도 계획하고 있어 향후 교통환경은 더욱 좋아질 전망입니다. 시흥 은행 1구역 재개발, 사업내용 경기도 시흥시 은행동 251-6번지 일대에 위치한 은행 1 구역은 지하철 서해선 신천역이 가까이 있어 대중교통이 편리하고 차량이용 시 신천 IC를 통해 도심진입이 용이합니다. 서해선 대곡소사선(대곡~소사구간) 올해 개통 예정 서해선 대곡소사선(대곡~소사구간) 올해개통 예정 국토교통부는 대곡~소사를 잇는 대곡소사선을 올해 6월 30일 개통한다고.. 부동산 정보 2023. 6. 27. 효자주공 3단지 재건축, 사업시행계획 인가획득 전주의 대규모 재건축 사업지인 효자주공 3단지가 지난 23일 사업시행계획인가를 획득했습니다. 이로써 마지막 관문인 관리처분계획 인가가 남았지만 현재 롯데건설, GS건설 컨소시엄과 공사비 증액문제를 두고 협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효자주공 3단지는 사업시행계획인가 후 감정평가와 공사비 협상을 진행하게 되면 2024년쯤 관리처분인가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효자주공 3단지 재건축, 2053세대 건립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 1가 133번지 일대에 위치한 효자주공 3단지는 현재 1235세대로 114,222㎡ 부지에 재건축을 통해 지하 3층~지상 최고 25층 21개 동 규모 아파트 총 2053세대를 건립할 예정입니다. 효자주공 3단지 재건축, 사업개요 사업위치 : 전주시 완산구 1가 133번지 일대.. 부동산 정보 2023. 6. 27. 대전역 미래형 환승센터 본격화, 2029년까지 구축 대전시가 '대전역 미래형 환승센터' 구축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비를 확보해 사업 본격화를 위해 오는 7월 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총사업비는 약 1500억 원으로 기본계획수립비 총 5억 원을 확보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2029년까지 기존 교통수단과 새로운 도심항공교통(UAM) 간 효율적인 결합을 통해 미래형 환승센터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대전역 미래형 환승센터, 2029년까지 구축 대전역은 하루 평균 약 3만 7 청명으로 서울과 동대구에 이어 전국적으로 3번째로 이용객이 많은 역입니다. 하지만 신도심으로 중심지가 이동하고 있는 대전역이 최근 대전역세권 개발계획과 혁신도시 계획 등을 준비하고 있는 대전시가 대전역 미래형 환승센터 건립이 확정되면서 다시 한번 활력을 되찾을 예정입니다. 이 사업은 .. 카테고리 없음 2023. 6. 26. 상도동 244일대, 재개발로 1190세대 건입 상도동 244번지 일대 재개발 사업 후보지가 신속통합기획안이 확정되어 인근 국사봉을 품은 총 1190세대로 거듭날 전망입니다. 상도동 244 일대는 지하철 7호선 신대방삼거리역과 가까이 위치해 있으며, 오랫동안 저층주거지로 주거환경이 열악했습니다. 이번 신속통합기획안이 확정됨에 따라 이 일대는 안전하고 활력 있는 단지로 재탄생활 예정입니다. 상도동 244일대 신속통합기획으로 1190세대 건립 서울시 동작구 상도동 244번지 일대가 신속통합기획이 확정되어 자연과 어우러지고 이웃 주민들에게 열려있는 주민친화단지로 최고 29층 아파트 규모 1190세대를 건립할 예정입니다. 상도동 244 일대는 현재 토지등수요자는 약 800명으로 7호선 신대방삼거리역과 장승배기역 사이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일대는 지난 196.. 부동산 정보 2023. 6. 26. 광주~영암・목포 아우토반, 전남형트램 예산확보 전라남도가 광주에서 영암・목포를 연결하는 초고속도로인 아우토반과 전남형 트램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예산을 확보해 7월부터 사전타당성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광주~영암・목포 아우토반은 1억 5000만 원, 전남형 트램은 약 3억 원 등 총 4억 5000만 원의 예산을 확보해 전남도의 새로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전력을 다할 방침입니다. 전남 아우토반, 트램 등 다음 달 타당성 착수 전라남도는 서남권 사회간적자본(SOC) 신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관련 사업비를 확보해 신속하게 추진할 방침입니다. 이에 따라 총 2조 7900억 원 규모인 광주~영암・목포 아우토반과 대불산단대교 연결 사업에 대한 사전타당성조사 용역비 1억 5000만 원과 하당~오룡 신도시를 잇는 4000억 원 규모의 전남 트램 구축 .. 부동산 정보 2023. 6. 26. 전세(월세)계약서, 계약전 집볼때 체크해봐야할 사항 발품이나 손품을 팔아서 마음에 드는 집을 발견했다면 계약 전 집을 꼼꼼하게 체크해보고 하자가 없는지를 확인하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알아보는 사항 말고 건물외부나 새시 실리콘 부분, 집안 모서리 부분을 확인하다 보면 의외로 문제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를 미리발견해서 차후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계약 전 특약사항에 넣거나 주인과 협의를 통해 입주 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전월세 계약전, 집을 보러 갔을 때 체크사항 보통 집을 볼때 기본적으로 구조는 어떻게 되어있는지, 물은 잘 나오는지 화장실이나 주방이 깨끗한지 벽지상태나 바닥상태 등 파손 부분이 없는지 등의 기본적인 것들을 체크하게 됩니다. 전세나 월세로 계약서를 작성하고 나면 최소 1년에서 길게는 4년을 살아야 하기때문에 처음 .. 부동산 정보 2023. 6. 24. 서초 한신서래아파트 414세대, 재건축 확정 최근 정부의 안전진단 완화정책으로 재건축이나 재개발 추진을 위해 안전진단을 받는 아파트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여기에 서초동 반포동에 위치한 한신서래 역시 지난해부터 예비안전진단을 추진해 올해 마지막 정밀안전진단을 통과하면서 재건축 사업지 대열에 합류했습니다. 현재 한신서래 아파트는 4개 동 414세대로 준공된 지 올해로 36년 된 단지입니다. 서초 한신서래 재건축 확정 서울 서초구 반포동 한신서래 예비안전진단을 거쳐 정밀안전진단을 통과하면서 재건축이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지난 23일 서초구청은 한신서래 아파트가 E등급으로 정밀안전진단을 통과했다고 밝혔습니다. 안전진단에서 D등급을 받으면 적성성검토가 필요하지만 한신서래 아파트는 E등급을 받아 적정성 검토가 필요없이 바로 재건축이 확정되었습니다. 서초 한.. 부동산 정보 2023. 6. 23. 재건축・재개발 시 이주정착금, 이사비, 주거이전비는 어떻게될까? 재건축・재개발 사업지에 건물을 철거하기 위해서는 이주가 진행됩니다. 본격적인 이주가 진행되면 이주기간과 세부계획 등이 정해지며 조합원 개개인의 이주 계획서를 접수받게 됩니다. 조합원이 제출한 계획서를 바탕으로 이주비 및 이주정착금, 이사비, 주거이전비 등이 정해져 개개인의 조합원이나 세입자가 지급받게 됩니다. 이주는 통상적으로 규모에 따라 6개월~1년 정도 이뤄지고 있습니다. 재건축・재개발 관리처분계획인가 후 이주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거의 마무리 단계인 관리처분계획 인가를 받으면 조합원이나 세입자들의 이주를 진행해야 합니다. 보통 관리처분인가일로부터 90일 이내에 협의가 이뤄지고 협의가 잘 이뤄지지 않으면 조합은 수용재결을 신청하거나 매도청구 소송 등을 제개할 수 있습니다. 이주를 진행하기 전 조합원은.. 부동산 정보 2023. 6. 23. 재건축・재개발 시 이주비 대출은 어떻게될까?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이 진행되는 곳에서 이주비에 대해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정비사업에서 관리처분계획인가를 받으면 철거 전에 살고 있는 집을 떠나야 하는데 이때 조합에서는 조합원들이나 세입자에게 이주비, 이사비, 주거이전비, 이주정착금 등을 지급하게 됩니다. 용어가 비슷하지만 재건축・재개발에 따라 다르며, 소유자와 세입자에 따라 지급기준이 다릅니다. 이 중에서 오늘은 이주비와 대출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합원들에게 지급되는 이주비, 이사비, 주거이전비 재건축이나 재개발 조합원들에게는 이주비, 이사비, 주거이전비, 이주정착금 등이 중요한 문제입니다. 사업이 진행되는 동안 다른곳에서 임시로 살아야 하기 때문에 거기에 추가비용 등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조합에서는 대출 등을.. 부동산 정보 2023. 6. 23. 이전 1 ··· 37 38 39 40 41 42 43 ··· 6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