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가 급증하면서 천만 가구를 넘어섰습니다. 혼자 생활하는 가구가 많아지다 보니 넓은 평수보다는 작지만 생활이 편리한 곳을 선호하는 경향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공간이 넓지 않지만 공용시설이 있는곳부터 대중교통이 잘 발달된 곳 월세 부담이 저렴한 곳 등 각자의 취향에 따라 원룸, 투룸, 소형아파트, 오피스텔, 고시원, 코리빙 하우스, 도시형 생활주택, 셰어하우스, 공공임대주택 등으로 주거형태가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는 1인가구에 맞는 주거시설의 종류와 가격, 새로운 주거형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인 가구에 적합한 주거시설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자가나 전세비율보다 월세 비율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1인 가구 중 절반에 가까운 사람들이 월세로 살고있다보니 주거형태 역시 큰 평수보다는 작은 평수의 집들이 늘어나고 있고 다양한 설계 등이 들어간 특화 설계 등도 도입되고 있습니다.
1인가구를 위한 주거시설에는 오피스텔, 고시원, 소형아파트, 코리빙하우스, 쉐어하우스, 공공임대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등이 있습니다.
여기서 보증금이나 목돈이 있는 분들은 소형아파트나 소형빌라 등을 자가로 보유하는 분들도 있고 자격요건에 부합해 공공임대주택에 들어가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이외에는 대부분 월세 주거형태인 원룸 오피스텔과 소형빌라, 코리빙하우스, 쉐어하우스 등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1인 가구 주거시설의 종류
1인가구 주거형태 추천 | |
오피스텔 |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중요한 사람이나 독립적인 생활을 원하는 분들에게 적합 |
코리빙하우스 | 네트워킹을 원하고 다양한 공용 시설을 잘 활용할 수 있는 분들에게 적합 |
쉐어하우스 | 저렴한 비용으로 거주하고 싶거나 다른사람과 생활해도 불편하지 않는 분들에게 적합 |
1인 주거의 일반적인 주거형태로는 원룸 오피스텔, 소형아파트, 빌라, 고시원, 코리빙하우스, 셰어하우스 등이 있습니다.
1. 원룸(오피스텔)
주거와 업무공간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직장인이나 혼자 일하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형태입니다. 공간이 넓지 않아 관리가 편하고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상대적으로 저렴한 임대료와 풀옵션 가구 및 전자제품 등이 제공됩니다. 하지만 공간이 작아 수납공간이 부족할 수 있고 방음에 취약한 편입니다.
2. 소형아파트
공간이 넓어 짐이 많은 사람에게 적합하고 분리된 공간으로 활용하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넓은 만큼 상대적으로 임대료가 비싼 편이며 관리비 부담 등이 있습니다.
3. 소형빌라
소형빌라는 원룸보다 다양한 구조로 되어있고 신축일수록 시설이 좋은편입니다. 하지만 엘리베이터 유무에 따라 다소 불편할 수 있고 각 층에 따라 임대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고시원
저렴한 가격대에 기본 생활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개인공간이 다소 제한적이며 공간할용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고시원의 경우 단기임대로 살기에 적합한 구조입니다.
5. 코리빙하우스
1인 가구에 최적화된 주거 공간으로 개인공간과 공유 공간(주방, 거실, 세탁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임대료에 공과금 및 인터넷, 청소 서비스 비용 등이 포함되어 있어 관리가 편리합니다. 하지만 공용 공간을 사용해야 하므로 개인공간이 부족할 수 있고 셰어하우스보다 한 달 임대료가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6. 쉐어하우스
여러 사람이 한집을 공유하는 주거형태로 개인 방은 보장되지만 주방이나 욕실 등은 공동으로 사용해 다소 불편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보증금과 한 달 임대료가 오피스텔이나 코리빙하우스보다 저렴한 경우가 많습니다.
1인가구 주거시설의 가격
사실 정확한 임대료 및 월세는 각 지역이나 신축과 구축에 따라 천차만별이지만 평균적으로 지역마다 시세가 어느 정도는 형성되어 있습니다.
1. 오피스텔 임대료 가격
성남시의 경우 보증금 1,000만 원~5,000만 원 / 월세 50만 원~100만 원선입니다. 2024년 기준 오피스텔 평균 월세보증금은 약 5,751만 원 / 평균 월세는 89만 3,000원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울기준으로 2024년 월세기준입니다.
- 강남・서초・송파의 경우 평균 월세 112만 8,000원
- 종로・용산・중구의 경우 평균 월세 106만 8,000원
- 노원・도봉・강북구의 경우 평균 월세 74만 6,000원
- 영등포・양천・강서구의 경우 평균 월세 78만 4,000원
- 은평・서대문・마포구의 경우 평균 월세 82만 8,000원
2. 코리빙하우스 임대료 가격
코리빙하우스는 대체적으로 비슷한 규모의 오피스텔보다 10~20% 높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월세 외에도 일부 프리미엄급은 관리비가 별도로 부과되는 곳도 있고 단기 계약도 가능곳이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임대료를 알기 위해서는 방문을 통해 꼼꼼하게 확인해 보는 게 좋습니다.
- 영등포구 대방동에 위치한 셀립 여의의 경우 보증금 400만 원 / 월세 115만 원~125만 원
- 마포구 신천동에 위치한 맹그로브 신촌의 경우 월세는 3인실 69만 원, 1인실이 120만 원
- 동대문구 제기동에 위치한 옐로트레인 제기의 경우 보증금 500만 원 / 월세 약 70만 원
3. 셰어하우스 임대료 가격
셰어하우스는 위치, 방크기, 커뮤니티 시설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조건만 된다면 서울시 공공임대주택을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생활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조검이 까다로워 사전에 본인의 조건을 잘 따져봐야 합니다.
우주 셰어하우스를 보면
서대문구 홍제동에 위치한 우주 셰어하우스는 보증금 100만 원 / 월세 40만 원~56만 원. 특징으로는 여성전용 셰어하우스입니다.
성동구 성수동 2가에 위치한 우주 셰어하우스는 보증금 300만원 / 월세 57만원~79만원. 특징으로는 다양한 방 옵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송파구 잠실동에 위치한 우주 쉐어하우스는 보증금 180만 원 / 월세 65만 원. 특징으로는 잠실새내역이 인근에 있어 대중교통이 편리합니다.
서울시 공공임대주택을 보면
희망하우스의 경우
보증금 100만 원에 월 임대료를 시중 임대료보다 30% 수준입니다.
주거환경임대주택의 경우
30㎡ 이하는 보증금 약 738만 원 / 월 임대료는 약 9만 원 선
40㎡ 이하는 보증금 약 1,136만 원 / 월 임대료는 약 13만 원 선
50㎡ 이하는 보증금 약 4,072만 원 / 월 임대료는 약 41만 원 선
집주인이 전・월세 계약만료 전, 나가라고 할 때 대응방법
집주인이 전・월세 계약만료 전, 나가라고 할때 대응방법
대부분 사회 초년생이나 관심이 없는 분들의 경우 임대차계약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전월세는 대부분 2년 계약으로 이뤄지지만 월세는 간혹 1년 당위로 계약하시는 분들도 있습
building-buy.com
전세계약 시 세입자 주의사항 및 특약사항은?
전세계약을 많이 해보신 분들도 있지만 사회초년생이나 신혼부부 등 계약이 처음이신 분들도 많습니다. 전세는 법적으로도 2년을 살 수 있고 묵시적 계싱이나 계약갱신 청구권을 활용해 거주기
building-buy.com
전세(월세) 계약서, 계약 전 집 볼 때 체크해봐야 할 사항
전세(월세)계약서, 계약전 집볼때 체크해봐야할 사항
발품이나 손품을 팔아서 마음에 드는 집을 발견했다면 계약 전 집을 꼼꼼하게 체크해보고 하자가 없는지를 확인하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알아보는 사항 말고 건물외부나 새시 실리콘 부분, 집
building-buy.com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실버타운 특징 및 입주조건, 비용은? (0) | 2025.03.13 |
---|---|
개봉동 49번지 일대, 1360세대로 재개발 (0) | 2025.03.11 |
자양 7구역 재건축 사업내용 및 예상분양가? (0) | 2025.03.03 |
재개발 시 이주비 산정기준, 수령절차 (1) | 2025.03.02 |
실버타운의 종류와 가격은 어떻게 될까? (0) | 2025.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