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분들이 다이어트나 뱃살을 빼기 위해 출근전이나 퇴근 후에 홈트레이닝, 헬스장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운동하고 있습니다. 그럼 운동할 때 더 큰 효과를 보기 위해 공복에 운동을 하게 되면 과연 효과가 있을까요?
정답부터 이야기하면 유산소 운동의 경우에는 운동시간에 따라 독이 될 수도 있고 득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근력 운동의 경우 공복에 운동하면 오히려 근소실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하지만 사람마다 질병여부, 운동시간, 먹는 음식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기본지식을 알고 운동하는 게 좋습니다.
공복에 운동하는 법
다이어트로 멋진 몸매를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본인의 의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짧게는 일주일 길게는 한두 달 정도로 일반인 분들이 운동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효과를 보기는 힘든 게 사실입니다.
유산소 운동은 대표적으로 걷기, 달리기, 자건거타기, 수영, 등산 등이 있으며, 공복에 운동하면 탄수화물과 지방을 함께 태울 수 있어 체지방 감량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근력운동의 경우는 이야기가 다릅니다. 공복에 근력운동을 장시간 하면 탄수화물 외에도 단백질을 태우기 때문에 오히려 근육량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다이어트를 원하시는 분들이라면 아침시간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자고 일어나면 공복상태이기 때문에 집이나 가까운 공원, 러닝머신 등을 활용해 체중감량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다이어트나 체지방 감량이 목적이라면 공복 유산소 운동출 추천드립니다.
공복에 유산소 운동하기
대부분 전문가들은 공복 유산소 운동을 추천합니다. 시간대비 상대적으로 효율이 더 높게 나오기 때문인데요. 공복에 운동을 하게되면 체내에서 연소시킬 탄수화물이 없기 때문에 지방을 태울 수 있습니다.
공복에 유산소 운동을 한다면 장시간 하는 것은 권해드리지 않습니다. 대략적으로 공복 유산소운동은 30~60분 정도 했을 때 다이어트에 더 효과적이란 연구결과가 있으니 본인의 컨디션에 따라 운동시간을 설정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공복 유산소 운동시에는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걸 권해드립니다. 하지만 공복상태에서는 혈당이 낮아질 수 있으니 각별한 주의도 필요합니다.
공복에 근력운동 하기
근육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근력운동은 공복에 운동하면 지방 외에도 단백질을 태우기 때문에 근육량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운동 후에 공복감이 커져 과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공복운동이 독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전날 과식으로 인해 몸에 충분한 에너지가 있다면 근육에 저장되어 있는 글리코겐을 태울 수 있습니다. 즉, 매일 공복 근력운동을 하기보단 본인의 컨티션이나 상황에 따라 공복운동을 병행하는걸 조금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복 상태에서 근력운동은 효과보다는 부작용이 더 많다는 걸 인지하고 공복보다는 운동 전 칼로리는 보충 후 운동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살빼기(다이어트)에 자꾸 실패, 성공으로 가는 길
대부분 사람들의 평생 숙제인 다이어트,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다이어트 방법이나 보조제, 운동, 식단관리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해 살 빼기에 도전하지만 실패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날씬
building-buy.com
헬스장 등록 시 알고있으면 좋은 꿀팁 5가지
운동을 시작할 때 어디 헬스장으로 갈지 고민이 많습니다. 운동기구가 많은 곳으로 가야 하는지 조금 더 저렴한 곳이 좋은지 집에서 가까운 곳이 좋은지 여러 문제들을 생각하게 됩니다. 헬스
building-buy.com
유산소, 근력운동 시 단백질 섭취량은 어떻게 될까?
몸매관리나 근육 증가를 위해 운동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단백질이나 운동에 필요한 음식들을 자주 찾게 됩니다. 보통 운동을 하지 않는 일반인이라면 탄수화물이나 다른 영양소들만 섭취
building-buy.com
'운동,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홈트레이닝으로 하는 근력운동 (0) | 2025.03.08 |
---|---|
흰머리와 새치머리의 원인 및 예방에 좋은음식 (0) | 2025.03.01 |
빠른 근성장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 (6) | 2024.10.01 |
헬스장에서 운동할때 신기좋은 신발은? (0) | 2024.08.22 |
발냄새 및 신발냄새 제거 집에서 쉽게하자 (0) | 2024.08.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