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825 영동~오창 고속도로, 2026년 착공을 위해노력 충북도는 영동~오창 고속도로 건설사업을 민자투자사업 방식으로 추진이 결정되어 지난달 한국개발연구원에 민자 적격성 조사를 의뢰했습니다. 이에 타당성결과 긍정적으로 나오면 제3자 공고 및 실시설계 등을 거쳐 2026년 착공에 들어갈 예정으로 총사업비는 약 1조 5514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영동~오창 고속도로 사업내용 영동~오창 고속도로는 영동군 용산면 영동 JCT에서 진천군 초평면진천 JCT까지 63.9km 길이와 청주국제공항IC를 포함한 오창 JCT에서 북청주 JCT까지 6.37km 길이를 신설하는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기존 중부고속도로~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하던 충북 남부 및 북구권간의 거리를 이동거리를 기존 87.8km를 직선화를 통해 63.9km로 23.9km를 단축하게 되면 이동시간이 약 .. 부동산 정보 2023. 4. 16. 고양~양재 지하고속도로, 이산포IC까지 추진 고양시가 교통난 해소와 서북부권~동남부권 간 광역도로망 구축을 위해 자유로 지하화 건설 마스터플랜을 수립할 예정입니다. 지난 2월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는 고양~양재 지하고속도로 건설사업이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해 자유로~강변북로 지하고속도로 조성사업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에 고양시는 이산포IC까지 지하고속도로를 추진할 방침입니다. 고양~양재 지하고속도로 이산포연장 고양시는 국토교통부, 민간사업시행자와 협의해 고양시 가양대교 현천 JC~이산포 IC까지15km 구간을 연장해 지하고속도로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고양시는 이를 위해 ‘고양시 주요 도로망 개선 타당성 조사 용역’을 올해 1월부터 오는 7월까지 진행중에 있습니다. 이번용역은 통일로, 자유로, 고양대로 등 교통정체가 심한 주요 도.. 부동산 정보 2023. 4. 16. 신안산선 2025년, 향남연장 2027년 운행예정 신안산선은 지난 2020년 4월 착공을 시작해 공정률은 올해 3월 기준 약 20%를 보이고 있으며, 2025년 4월 개통을 목표로 공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해 신안산선 향남연장이 확정되어 올해부터 본격 추진될 전망입니다. 향남연장은 화성시가 공사비 전액을 부담해 올해 상반기 중으로 관련업체와 계약을 체결해 2024년착공, 2027년 운행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신안산선 사업내용 및 전체노선 신안산선은 총 사업비 4조 3055억 원이 투입돼 총길이 44.76km를 Y자 형태로 운행되는 노선입니다. 지난해 향남연장이 확정되어 19km가 추가 연장됩니다. 이 노선은 여의도를 출발해 광명역에서 화성·시흥방면과 안산(한양대) 방면으로 나눠집니다. 이중 시흥시청역~광명역 구간은 경강선과 공유하고 시흥시청역.. 부동산 정보 2023. 4. 15. 개포주공 5단지 순항중, 1279세대로 재건축 개포주공 5단지는 지난해 지상 35층 규모아파트 1279세대 계획으로 12월 서울시 건축심의를 통과했습니다. 이 구역은 재건축 사업에 대해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고시됐습니다. 특별구역으로 지정되면 창의적인 설계와 용적률을 일부 완화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사업시행인가를 받아 조합은 내년쯤 시공사 선정과 관리처분인가를 진행하고, 2027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개포주공 5단지 재건축 사업 및 추진내용 개포주공 5단지는 준공 40년 차를 넘은 노후아파트로 940세대 6개 동으로 건폐율 12%, 용적률 151%로 22평, 25평, 31평, 35평으로 구성된 단지입니다. 앞서 개포주공 5단지는 6, 7단지와 통합 재건축을 추진할 계획이었지만 용적률과 대지지분, 입지적 차이 때문에 단독노선으로 방향을 .. 부동산 정보 2023. 4. 15. 가야 1구역(더 다이너스티 가야)관리처분인가후 이주 가야 1 구역은 2023년 3월 관리처분인가를 받아 현재 이주준비 중에 있습니다. 조합 측은 2024년까지 이주 및 철거를 마무리하고 2025년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총 1943세대에서 특화설계 및 대형평수를 추가해 1901세대로 변경될 예정입니다. 시공사는 HDC현대산업개발, 대우건설 컨소시엄으로 단지명은 ‘더 다이너스티 가야'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가야 1 구역 2025년 착공예정 가야 1 구역 사업개요 사업위치 : 부산시 진구 가야동 410번지 일원 구역면적 : 98,206㎡ 건폐율 / 용적률 : 17.19% / 257.90% 규모 : 지하 5층~지상 29층 18개 동 세대수 : 1901세대 시공사 : HDC현대산업개발, 대우건설 컨소시엄 가야 1 구역 사업추진 내용 부산시 진구 가야동 41.. 부동산 정보 2023. 4. 15. 신당10구역, 구역지정 및 조합설립 추진 중구 신당동에 위치한 신당 10 구역이 올해 2월 서울시로부터 정비계획(안)이 수정가결돼 조합직접설립을 위한 용역 절차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구역은 최고 35층 높이로 총 1423세대를 건설할 예정으로 현재 동의서를 걷고 있으며, 재개발을 위한 구역지정도 행정절차를 밟고 있어 조만간 고시예정에 있습니다. 또한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을 통해 절차 간소화로 사업이 빠르게 추진될 전망입니다. 신당 10구역 사업 및 추진내용 서울시 중구 신당동 236-100번지 일대에 위치한 63,893㎡면적에 건폐율 27.9%, 용적률 294.1%가 적용돼 지하 3층~지상 최고 35층, 16개 동, 총 1423세대 아파트와 부대복리시설 등을 짓게 됩니다. 조합원 및 일반분양 물량은 1082세대, 임대주택 316세대가 공급될.. 부동산 정보 2023. 4. 14. 신월시영 재건축, 신탁방식으로 3100세대 계획 서울 양천구에 위치한 신월시영 아파트가 재건축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추진준비위원회는 이곳 주민들에게 설문조사 결과 신탁방식을 선호해 코람코자산신탁・KB부동산신탁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지정하고 신탁방식으로 추진 절차를 밟고 있습니다. 현재 신월시영 아파트는 총 2256세대를 구성하고 있고, 용적률이 132.50%에 불과해 재건축 진행 시 사업성이 좋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신월시영 아파트 재건축 현황 서울 양천구 신월동 987-1번지 일대에 위치한 신월시영은 1988년 6월에 입주해 35년 차 접어든 노후 아파트입니다. 현재 최고 12층 높이로 20개 동 2256세대 규모로 조성돼 있습니다. 토지용도는 제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대지면적 34,537평에 건폐율 12%, 용적률 132.50%로 구.. 부동산 정보 2023. 4. 14. 장위 10구역, 교회부지 빼고 재개발 진행 장위동에 위치한 장위 10 구역은 총 2004 세대를 건립할 예정으로 2017년 7월 관리처분인가를 거쳐 이주 및 철거작업이 끝났지만 교회부지 문제로 갈등을 빚어오면서 수차례 요구조건을 들어줬지만 결국 합의를 하지 못했습니다. 이로 인해 장위 10 구역 조합 측은 교회부지인 사랑제일교회를 제외하고 사업을 추진하기로 결론 내렸습니다. 이로 인해 설계변경부터 인허가 등을 다시 거쳐야 해 착공은 빨라도 1년~2년은 더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장위 10구역 사업내용 서울시 성북구 장위동 68-37번지 일대에 94,245㎡ 면적에 위치한 장위 10 구역은 지하 3층~지상 최고 29층, 22개 동 규모 아파트 총 2004 세대를 건립할 예정입니다. 조합원은 약 476명이며, 시공사는 대우건설로 선정되어 있습니다.. 부동산 정보 2023. 4. 14. 하월곡동 70-1번지 일대, 1900세대 예정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70-1번지 일대가 신속통합기획안이 확정되어 재개발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 구역은 노후한 저층주택과 소규모 근린생활시설이 혼재돼 있어 녹지공간가 생활편의시설이 부족합니다. 이번 신속통합기획안 통과로 인해 하월곡동 70-1번지는 문화공간을 확보하고 주변과 유기적인 연계를 통해 녹지공간 조성과 최고 35층, 1900세대 규모 주거단지로 탈바꿈하게 됩니다. 하월곡동 70-1번지 일대 사업내용 성북구 하월곡동 70-1번지 일대는 80,672㎡ 부지에 건폐율 약 30%, 용적률 300%가 적용돼 지하 3층~지상 35층 규모 아파트 약 1900세대 아파트가 들어섭니다. 이 구역은 노후한 주택과 소규모 근린주택 등이 밀집돼 있습니다. 월곡천을 따가 형성된 이후 골목길이 좁아 불편이 가중돼 왔습.. 부동산 정보 2023. 4. 14. 위례(선)트램 착공, 마천역~복정역, 남위례역 연결 서울시가 위례신도시 숙원사업인 위례트램 착공식을 열고 본격적으로 공사에 들어갑니다. 이번 위례트램 착공으로 1968년 서울에서 사라진 노면전차(트램)가 57년 만에 부활하게 됩니다. 위례트램은 지하철 5호선 마천역~8호선 복정역·남위례역을 연결해 3년간 공사기간을 거쳐 2025년 9월 개통예정입니다. 위례신도시를 지나는 트램이 완료되면 교통난 해소와 대중교통 편의성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위례트램 2025년 개통 1899년 서대문~종로~동대문~청량리구간 8km에 최초로 도입 댔던 트램(노면전차)은 1968년까지 약 70년간 운행되었다가 자동차가 보급되면서 사라졌습니다. 이번 위례 트램이 착공에 들어가 2025년 9월에 개통되면 서울에서 사라졌던 트램(노면전차)이 다시 운행하게 됩니다. .. 부동산 정보 2023. 4. 14. 성수전략정비구역 1지구~4지구 추진현항은?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 따라 35층 층수 제한이 폐지되어 성수전략정비구역에 대한 50층 높이 아파트 계획이 현실화되었습니다. 그동안 이 구역은 35층 제한으로 건축심의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35층 층수 폐지로 재개발 정비계획 변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곳은 한강조망과 교통환경이 우수해 많은 건설사들이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성수전략정비구역 1지구~4지구 한강을 사이에 두고 압구정과 청담을 마주 보고 있는 성수전략정비구역 1~4 지구는 현재 4개 지구 전부 조합설립인가를 받고 건축심의 과정에 있습니다. 2007년에 정비구역으로 지정되어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 일환으로 지정되었지만 다음 시장의 35층 규제로 사업추진을 못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다시 오세훈 시장이 당선되고 35층 층수 폐지로 다시 사.. 부동산 정보 2023. 4. 13. 북아현 2구역, 2320세대 재개발 재추진(공사비 인상 타결) 북아현 2 구역은 삼성물산과 DL이앤씨 컨소시엄이 시공을 맡아 2320세대를 건립할 예정이며, 조합원은 약 1279명으로 지난해 5월~7월 조합원 분양을 진행되었습니다. 최근 공사비 문제로 시공사와 조합측간 대립으로 시공사 해지까지 거론되었지만 공사비 협상이 타결될 전망입니다. 시공단은 최종 공사비 평당 748만 원을 제시해 향후 총회를 통해 최종 확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북아현 2 구역 사업내용 사업위치 : 서울시 서대문구 북아현동 520번지 일대 사업면적 : 122,776㎡ 사업규모 : 지하 5층~최고 29층, 29개동 세대수 : 2320세대 조합원 : 1279명 시공사 : 삼성물산, DL이앤씨 사업단 북아현 2 구역은 서울시 서대문구 북아현동 520번지 일대, 구역면적 122,776㎡에 공동주택과.. 부동산 정보 2023. 4. 13. 이전 1 ··· 59 60 61 62 63 64 65 ··· 69 다음 반응형